피크 아웃 논란 불구 실적 주목하며 상승
미 증시는 다음 주 실적 발표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기는 했으나, 경제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피크 논란이 부각되며 혼조세로 출발. 더불어 양호한 실적발표가 지속되고 있으나 높은 원자재 가격, 공급망 제약, 운송 비용 같은 역풍 등으로 이익 피크 논란 또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 그러나 장 후반 인프라투자 관련 기대 심리가 부각되자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되며 금융과 경기민감주들의 낙폭이 축소. 더불어 다음주 실적 발표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는 지속돼 지수는 상승 마감(다우 +0.07%, 나스닥 +0.36%, S&P500 +0.20%, 러셀2000 -1.55%)
뉴욕증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주요 기술주들이 다음주 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실적 기대감 속에 상승세를 이어간 점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주요 경제 지표는 대체로 부진한 모습. 美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대비 5만1,000건 증가한 41만9,000건(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고 발표
美 국채가격은 ECB 통화 완화적 기조 유지 및 美 실업 지표 부진 등에 강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국채 금리 하락 속 5거래일만에 반등
국제유가는 원유 공급 부족 우려 부각 등에 상승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도 지속되는 모습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자동차, 금융, 항공, 2차전지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2021년 7월 23일(금)
개장 전 주요 이슈 점검
● 뉴욕증시, 7/22(현지시간) 경제 지표 부진에도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 다우 +25.35(+0.07%) 34,823.35, 나스닥 +52.65(+0.36%) 14,684.60, S&P500 4,367.48(+0.20%), 필라델피아반도체 3,259.42(-0.89%)
● 국제유가($,배럴), 원유 공급 부족 우려 부각 등에 상승… WTI +1.61(+2.29%) 71.91, 브렌트유 +1.56(+2.16%) 73.79
● 국제금($,온스), 美 10년물 국채 수익률 하락 등에 상승... Gold +2.00(+0.11%) 1,805.40
● 달러 index, 코로나19 우려 지속 및 예상치를 웃돈 주간 실업보험청구 속 강세... +0.11(+0.12%) 92.87
● 역외환율(원/달러), -0.01(-0.00%) 1,150.60
● 유럽증시, 영국(-0.43%), 독일(+0.60%), 프랑스(+0.26%)
● 美 주간 실업보
20201년 7월 27일 증시 개장전 이슈 (0) | 2021.07.27 |
---|---|
2021년 7월 26일 증시 개장전 이슈 (0) | 2021.07.26 |
2021년 7월 22일 증시 개장전 이슈 (0) | 2021.07.22 |
2021년 7월 21일 증시 개장전 이슈 (0) | 2021.07.21 |
2021년 7월 20일 증시 개장전 이슈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