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day



애플과 파월 의장의 힘으로 차익 매물 이겨낸 하루

미 증시는 애플이 차기 아이폰 생산량을 20% 늘리도록 요청 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이자 상승 출발. 그러나 실적 발표한 금융주와 국제유가 약세로 인한 에너지 업종이 부진하자 하락 전환하는 등 제한적인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서는 파월 연준 의장이 의회 청문회를 통해 인플레 압력에도 불구하고 경기 자신감 표명과 온건한 통화정책을 지속하자 재차 상승 전환. 더불어 베이지북을 통해 연준이 경기에 대한 자신감 표명한 점도 긍정적 요인. 다만, 차익 욕구는 여전해 전반적으로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마감(다우 +0.13%, 나스닥 -0.22%, S&P500 +0.12%, 러셀2000 -1.63%)

- 파월 Fed 의장 완화적 기조 재확인(+), 경기 부양 기대감(+), 기업 실적 호조(+), 차익실현 매물(-)

파월 Fed 의장이 완화적 기조를 재확인하면서 조기 긴축 우려가 다소 완화되는 모습

최근 사상 최고치 행진에 따른 고점 부담감 속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점은 부담으로 작용

종목별로는 애플(+2.41%)은 납품업체에 차세대 아이폰 생산을 기존대비 약 20% 증가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 재차 경신
반면, 씨티그룹(-0.29%), 뱅크오브아메리카(-2.51%), 블랙록(-3.06%), 델타 항공(-1.57%)은 호실적 발표에도 하락

2021년 7월 15일(목)
개장 전 주요 이슈 점검
● 뉴욕증시, 7/14(현지시간) 파월 Fed 의장 완화적 기조 재확인 속 혼조 마감… 다우 +44.44(+0.13%) 34,933.23, 나스닥 -32.70(-0.22%) 14,644.95, S&P500 4,374.30(+0.12%), 필라델피아반도체 3,289.18(-0.35%)
● 국제유가($,배럴), OPEC-UAE 산유량 잠정 합의 소식 등에 하락… WTI -2.12(-2.82%) 73.13, 브렌트유 -1.73(-2.26%) 74.76
● 국제금($,온스),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행보 재확인 등에 상승... Gold +15.10(+0.83%) 1,825.00
● 달러 index, 파월 Fed 의장 완화적 기조 재확인 속 하락... -0.38(-0.41%) 92.37
● 역외환율(원/달러), -6.43(-0.56%) 1,144.36
● 유럽증시, 영국(-0.47%), 독일(-0.00%), 프랑스(-0.00%)
● 美 6월 PPI 전월比 1.0%↑…예상치 0.6%↑
● 파월 "인플레이션 몇달간 높게 유지…성급하게 대응하면 실수"
● 파월 "연준 디지털 통화 도입하면 암호화폐 필요없을 수도"
● 연준, 경제활동 추가 강화…물가 평균 이상으로 상승
● OPEC·UAE 산유량 기준에 합의…WTI 가격 장중 4%↓
● EIA 원유재고 790만배럴 감소
● 美 주간 모기지 재융자 20% 급증…평균대출 규모 1월 이후 최저
● 애플 주가, 차세대 아이폰 생산 확대 기대에 사상 최고
● 배런스 "'캐시 우드'도 중국 기술주에 인내심 잃어"…ETF 지분 축소
● 웰스파고, 2분기 순익 예상치 상회
● 델타항공, 2019년 이후 첫 순익 전환
● 씨티, 분기 순익 6배 증가·예상치도 상회
● BOC 총재 "경제 예상대로 회복시 QE 추가 조정…속도는 점진적"
● SEC 비트코인 ETF 승인 또 연기…가을로 미뤄
● 美상원, 하원 이어 연방차원 대마초 합법화 추진…민주 법안발의
● 美 LA, 한달 새 코로나 확진자 6배로…병원은 또다시 환자 넘쳐
● 유로존 5월 산업생산 전월비 1.0%↓…예상치 하회
● 한은, 오늘 통화정책방향 회의…기준금리 '동결' 유력
● 오후 9시까지 1천421명, 어제보다 19명↓…15일도 1천600명 안팎
● 오늘날씨, 체감온도 33도 폭염…내륙 곳곳 소나기

[기업/산업]
● LG화학, 전지 소재에 6조 투자
● 반도체 슈퍼 사이클 숨고르기?…D램값 상승세 주춤
● 삼성전자 비메모리 진격, 아우디 이어 폭스바겐에 車반도체 공급한다
● 삼성전기, 車 카메라 모듈 4억3600만弗 수주
● 이달 철수하는 'LG폰' 인력 3천300명, 18%가 계열사로 이동
● "LNG선 100척 싹쓸이?"…한국 조선 3사 초대형 수주 노린다
● "생큐 코리아"…美 GM에서 날아온 '이례적' 메일
● 미래車 올라탄 부품사 9곳…콧대높은 완성차 업체서 먼저 러브콜
● 내연기관 부품 중소형사는 1년새 77곳 퇴출
● 한샘, IMM에 매각 계약…지분20% 최대 1조3천억
● 1970년대 '현대식 부엌' 내놓으며 히트…2000년대 인테리어시장 선도 매출 2조
● 메타버스 전문기업 2025년 150개로 확대…블록체인 육성·신지능형 IoT 서비스 추진
● 220조로 불어난 뉴딜 2.0…"다음 정부서 사라질 수도"
● 삼성전자 호찌민 가전공장 '코로나 봉쇄'

● 자회사 멜론에 수수료 특혜…공정위, SKT에 시정명령
● "그 돈 받고 아무도 안 나간다"…기업은행 임피만 1000명
● 돈받고 수개월씩 강제 연수…코로나 후엔 재택 연수까지
● 반도체 필수원료 '초순수' 국산화 착수
● 우리은행, 인도네시아에 1억달러 추가투자
● '디도스 표적' 된 금융사들
● "공모주 청약 환불금 잡아라"…OK저축은행, 年 2% 파킹통장 내놔
● 현대캐피탈, 현대車 전용 상품…할부원금 80%까지 유예 가능
● 은행서 펀드들때 '핵심'만 짧게 듣는다
● '고래' 삼킨 정창선 중흥그룹 회장 "대우건설이 번 돈 한 푼도 안뺀다"
● 5G 주파수 추가할당 놓고 통신3사 '정면충돌'
● 내달 출시 폴더블폰 띄우기?…갤럭시S21 35만원 비싸진다
● "양자컴퓨터는 IT 게임체인저…R&D 속도내야"
● SKT '쓰기 쉬운 메타버스'…새 플랫폼 이프랜드 출시
● MS, 클라우드PC 시장 뛰어든다
● 위니아딤채 '매출 1조 클럽' 가입하나
● 잘나가던 K배터리 '화들짝'…폭스바겐, 중국과 손잡았다
● SKC, 친환경 플라스틱 기술 美수출
● 베일벗은 현대차 '아반떼 N'…국내 첫 고성능 세단 출격
● LS일렉, 美 ESS시장 공략 가속화
● SK실트론, 美미시간에 3억달러 투자
● 성호전자, 대만 수출용 태양광 콘덴서 양산 '눈앞'

● 약물 플랫폼社 NBR 지분 인수…팜젠사이언스, 항암제 공동개발
● "검사현장서 1시간내 확인"…코로나 진단 속도전
● 뉴지랩파마, 美 FDA에 항암후보물질 임상 신청
● 노바셀, 스타트업 히츠와 차세대 면역체료제 연구 협약
● 제넥신, 전문경영인 체제로…성영철 회장은 경영일선 퇴진
● "뭐가 달라도 다르죠"…코로나에도 문여는 이 백화점
● "어! 화장품 다 썼네"…자정 전에 주문하면 아침에 배달 SSG닷컴 새벽배송
● "쿠팡이 키웠다"…1200억 '잭팟' 터뜨린 기업
● "인건비 못 건져"…다점포 편의점 3년 새 '반토막'
● 1주일새 500% 급등주 속출…"최고의 재테크" 광풍 부는 곳
● "포스코·롯데 영업익 껑충…효성·신세계 흑자전환"
● 실적 좋은데 기관 매수는 저조…기관 수급 '빈집' 이 종목들을 주목해라
● "3분기가 더 유망하다"…실적 회복세 가파른 그룹은
● '그린 랠리' 올라탄 고려아연…"나도 이젠 배터리 소재株"
● '블록딜' 씨티씨바이오, M&A 가능성에 급등
● 네이버·카카오 '엎치락 뒤치락'…시총 3위 전쟁 재점화
● 조정 벗어난 배터리株…2차전지 ETF도 고공행진
● 헬릭스미스 경영진 교체, 사측·소액주주 심야까지 '대립'
● '쓰레기가 돈이 되는 시대'…올 들어 주가 210% 오른 곳
● IPO 속도내는 세븐브로이…'곰표맥주'도 증시 입성 채비
● 실적 피크아웃?…"우리는 하반기도 잘나가요"
● 갈 곳 몰라 MMF에 머문 돈 142조
● 큐라클 공모 10조 몰려 청약 경쟁률 1546 대 1
● 대기업 '연결기준 내부회계' 감사 1년 연기
● 더 깐깐해진 '공모주 심사'…기업 40% 증권신고서 정정
● '롯데월드타워 지분 매각' 거래규모 1위
● 블랙핑크 품는 위버스 '날개' 달았다
● 유럽·美·中서 한국콘텐츠, 리메이크로 대박

[경제/증시/부동산]
● 취업자 4개월 연속 증가…자영업은 '먹구름'
● 6월 가계대출 6.3조원 증가…상반기 41.6조원 급증
● 1Q 증권사 파생결합증권 24조원 발행…잔액은 2013년 이후 최저
● 환율 뜀박질…장중 1150원도 뚫어
● 금감원, 라임펀드 배상비율…하나銀 65%·부산銀 61%로
● 펀드시장 기지개…상반기 45조 유입
● "금리 올라도 걱정마세요"…'이자 상한선' 둔 주담대

[정치/사회/국내 기타]
● 확진자 연일 사상 최다…"이대로면 곧 2000명" 경고
● 백신 부족…50대 초반 접종 일주일 미뤘다
● 비수도권 확진자도 1주새 두 배…"4차 유행 정점 빨라야 내달초"
● 세종 1단계인데 4명까지만, 제주 3단계로 악화됐는데 2단계
● 청와대도 뚫렸다…게다가 돌파감염
● 여야, '재난지원금' 지급 설전…"80% 지급도 많아"
● 민주당 "올 세수 35조 이상 늘 것…2차 추경 증액해야"
● 대선 앞두고…뉴딜로 '청년층 퍼주기'
● 文 "청년 위한 주거·교육비 아낌없이 지원"
● 구글 인앱결제 방지법 오늘 국회서 논의…전체회의 상정될까
● 선거 앞두고…최대 月 30만원 얹어주는 청년통장
● 이재명 때리던 與잠룡들, 이젠 이낙연 향해 화살
● 지지율 흔들리는 윤석열…입당 결심 굳힌 최재형
● 유승민 "LTV규제 80%까지 완화"
● 박범계 "수사상황 악의적 유출 엄단"
● 올여름 전력 초비상인데…이제야 연료 주입하는 신한울 1호기
● 북한의 첫 인정…"백신·식량 부족"

[국제/해외]
● 파월 "인플레 일시적…통화정책 지원 계속할것"
● 美 "인권탄압 中신장 관련 거래 말라" 경고
● 바이든 "투표권 제한은 21세기 흑백차별법"
● 폭스바겐, 2030년 전기차 비중 50%로
● 세계 2위 운용사 뱅가드, 46년 만에 첫 M&A
● 리커창 "中경제 대외환경 불확실"
● "트럼프, 한미동맹 폭파 언급"
● 美, 화웨이 장비 퇴출 초강수…19억弗 들여 교체비용 보상
● 'CES 2022'서 우주기술 첫 전시
● 美 중고차값 석달째 '폭주' 지난달 10%↑…70년 만에 최대
● '긴급사태 매너리즘' 빠진 도쿄…술집도 새벽까지 버젓이 영업
● EU, 2026년부터 탄소국경세 걷는다
● 올림픽 사상 125년만에…주경기장 텅빈 개막식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